안녕하세요
로고스 논술구술학원 교대 팀장 조경미쌤입니다^^
어제(2025. 1. 18. 토) 서울교대 정시 면접을 치렀습니다.
다행히 강의하다 딱 점심시간에 고사 마친 아이들과 통화하고 문자하고 그럴 시간이 잠시 있었어요.
웃긴건 자기들이 무슨 답변을 했는데 그거 괜찮냐, 맞냐, 이런 확인은 하고 싶은데
문제가 뭐였는지는 기억이 안 난다는 거예요ㅋㅋㅋ
고생했습니다. 우리 아가들.
일단은
작년까지와 면접 방식은 동일하게 치러졌지만,
숙고시간이 좀 더 길어지고,
필기구는 사용하게 바뀌었습니다.
(2023학년도 이전과 동일 방식)
저도 내년에 봐야 하니, 정리를 해 둡니다.
내년 면접볼 학생들을 위해서도요^^
그리고, 남은 교대 정시 면접 준비생들을 위해
이번 서울교대 정시 면접 문항도 학생들에게 전달받은 대로 정리해봅니다.
서울교대 2025학년도 정시 면접 피드백
1. 7분 준비 시간(복도에서 7분 시간 주고 문제 읽고 필기하며 숙고 가능!)
2. 연습지 가지고 들어가고, 면접장 책상에도 문제지는 붙어 있음! 그러므로 면접 중에 당연히 문제 참고하면서 힐끗힐끗 볼 수 있음!!
3. 시계를 볼 때, 시간은 10분에서 줄어듦
(한 학생의 피드백: 한참 말하다가 앞에 시계의 숫자가 6분이라 본인이 6분 말한 줄 알았는데, 4분 말하고 6분 남은 것이었음.. 순간 헷갈렸다고ㅎㅎ 그러므로 시간 체크를 잘 해보자!)
4. 면접관은 교수님 두 분이었고, 한 분은 쳐다봐주시고, 한 분은 뭔가 필기하느라 바쁘심
(면접 앞 번호 학생은 상대적으로 교수님이 호의적이었다/끄덕여주셨다는 말을 했지만, 거의 끝 번호로 2시간 넘게 기다린 학생은 교수님이 자기랑 눈 맞추고 쳐다보긴 했지만 끄덕여주지 않아서 본인이 뭔가 실수했다 당황했다고 함. => 제 생각에는 교수님들 피로도가 높아서였을 거 같아요.. 비슷한 얘기 10번씩 들으면피곤하잖아요.. 긴장하지 말고 내 할 말, 준비한 말 다 하고 나오면 돼요!)
[서울교대 2025 정시 면접 문제]
1. 교사의 지적 능력, 학생들에 대한 공감과 자율성 존중 중에서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무엇인가??
2. '나는 맞고 너는 틀려'라고 생각하는 용어와 '부정적 정보만 받아들이는 현상'을 의미하는 용어를 제시하고, 두 가지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문제는 무엇인가?
3. 인공지능과 인간의 교류로 생기는 상황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학습 방안을 말하라.
(한 수험생은 'AI 격차의 완화 방법'을 제시하라고 이해하고 말했다고 함)
1. ‘배리어프리 디자인‘이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고 그 이유를 설명하라.
2. 교육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발전이 두드러짐. 개념학습과 활용의 측면에서 인공지능의 장단점 설명하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제시하라.
3. 디지털 기술을 잘 활용하는 사람도 있지만, 못 다루는 사람도 있다. 교육의 격차를 개선하는 것, “디지털 디바이드”의 원인과 해결방인을 제시하라.
이렇게 출제되었다 하니, 대구/공주/전주/진주 수험생들은 예상문제라 생각하고 한번 답해보세요.
우리는 내일 수업 중에 풀어봅시다^^
'논술언니_CLASS > 논술·면접·시사_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미 논술] 2028학년도 수능, 탐구 변별력 커진다…문항수·시간 늘어 (0) | 2025.01.20 |
---|---|
[조경미 교대 면접] 교실이 없는 시대가 온다(책 추천) (0) | 2025.01.20 |
[조경미 교대 면접] 교직 시사이슈(지방대 통합) (0) | 2025.01.19 |
[조경미 교대 면접] 2025 교대 정시면접 대비 예상 문제(공주/전주/진주) (0) | 2025.01.18 |
[조경미 교대 면접]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 주요사항의 신・구 대비표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