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술언니_CLASS/인문논술_Archive

부산대 학업역량평가 2014학년도 모의 1차 문항 및 영어 제시문 해석

by 경미쌤😍 2013. 10. 9.

부산대 검색으로 블로그를 방문하는 수험생들이 많아서요..

어차피 '대성마이맥' 부산대 학업역량평가 FINAL 무료 강좌에서 이미 해석본을 공개했기 때문에 강좌 수강생들은 다 알고 있겠지만,,

혹시나 필요해서 검색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오픈합니다.

아래 자료...수험생들은 마음껏 활용하시되,, 선생님들께서는 활용하시더라도 '내 자료'라고 말씀하지 마시고, 영어 제시문 해석을 가져온 곳이라고 출처 적어주세요.

원본 문제는 저도 '부산대학교' 홈페이지에서 가져왔습니다.

 

문제 분석 간단하게 해드립니다.

 

1번 문항은 '지대추구행위'와 '이익추구행위'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이해하여 답안을 작성해야 하는 문제였어요.

영어 제시문에 충분한 서술이 되어 있지만, 영어 2등급 중하, 3등급 이하는 완벽한 해석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헛소리 답안을 제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2등급 중급 이상은 뭐.. 눈치로라도 대강 답안 씁니다.

 

2번 문항의 경우 사회현상을 '각각'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글의 구성을 논제에서 이미 명시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답안 작성 방법은 글보다는 말로 설명하는 게 더 쉬우니,, 대성마이맥 파이널 강좌 확인하시고요. (공짜니까 많이 보세용..ㅎㅎㅎ)

 

3번 문항의 경우 매-비둘기 게임이론을 지문으로 주기는 했는데, 사실 이건 뭐 장난이죠..

이 문제는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라서, 수험생의 배경지식도 일부 필요하고, 표현력도 아주 중요합니다.

이 문제는 '한국외대 3번' 문항과 비슷한 형태이므로, 한국외대와 부산대를 함께 준비한다면 효율적일 것이라는 점..까지 말씀드리고 여기에서 마무리합니다~~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In their quest for value, people choose between two paths. They can obtain value through exchange by providing a good or service that others consider valuable. Alternatively, they can seek to have value transferred to them without providing anything in return. The first path is one of profit seeking, and it has the desirable effect of forcing people to serve the public by providing products the public wants at prices they will pay. The second path has become known as rent seeking. And rent seeking can occur whenever people can compete for some existing value. Many interesting cases involve the government because the government can use force in ways that no private citizen or group of citizens can, and that use of force can be made to enrich some at the expense of others. Rent seeking includes competition for subsidies, for special jobs, and for exclusive rights to produce or sell products. For example, steel producers often seek restrictions on imports of steel and licensed doctors often lobby to keep regulations in place that restrict competition from unlicensed doctors. If too much effort of those who have talent and desire is channeled into rent seeking, serious harm can be done to a country's growth and development, causing a serious waste of society's scarce resources.

 

[] 흔히 전관예우란 장관 내지 차관 등의 고위공무원을 역임한 사람이 퇴임 후 관련 기업 등에서 특별한 대우를 받는 현상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전관예우를 통해 재취업한 사람은 주로 해당 기업에서 활동하며 정부의 인·허가나 정부지원 사업 등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의 법조계에서도 그 유래가 없는 이러한 전관예우로 인하여 사법부의 정의구현의 실현이 무색케 한다. 판사 내지 검사를 하다가 현직에서 물러나 변호사 개업을 하게 되면 법원이나 검찰에서 그 재판결과에 있어 전관예우를 하여 전직 판검사출신 변호사에게 유리한 판결이나 처분을 내려주는 관행이 있어왔다. 이러한 관행으로 인하여 소송업무를 의뢰하기 위하여 변호사 사무실을 찾는 사람들은 그 변호사의 소송수행능력보다는 그 변호사가 전직 판검사였는지, 혹은 담당 판검사와 같은 대학출신의 동문인지, 친분은 있는지 등등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진다는 것이다. 판검사와의 개인적 친분관계는 변호사의 소송업무와 아무런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상관관계가 있어서도 아니 된다.

 

[] 미국 플로리다 주에서 실내장식가 허가를 얻으려면, 4년제 대학을 나오고 2년 동안 수습을 거친 뒤 이틀에 걸친 시험에 합격해야 한다. 자격증이 만드는 이런 진입 장벽은 당연히 물가를 올린다. 보다 큰 문제는 그런 진입 장벽이 창업하려는 사람들을 짓눌러서, 일자리들을 줄인다는 사실이다. 그것도 자격증을 따기 어려울 만큼 가난한 사람들과 아이를 양육하고 다시 일하려는 여성의 일자리들을 줄인다. 미국의 경우, 허가제를 통한 규제는 일자리를 20% 가량 줄인다고 여겨진다. 물론 자격증을 가진 사람들과 자격증을 관리하는 기구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초과 이익을 본다. 미국 시장에 관한 조사에 따르면, 허가제는 이미 허가를 얻은 사람의 소득을 15% 올린다. 이런 초과 이익은 노동조합원이 누리는 것과 비슷하다. (허가증을 갖고 노동조합에 가입한 사람은 24%의 초과 이익을 누린다.) 이처럼 남용된 허가제는 가진 자들이 가난한 사람들을 착취하도록 만든다. 게다가 기득권자들이 누리는 초과 이익은 다른 사람들이 입는 손실에 비기면 아주 작아서, 사회 전체는 큰 손해를 본다.

- 동업조합의 폐혜, 복거일

 

 

1. 제시문 []의 내용을 우리말로 요약하시오. [150자 이내]

 

2. 제시문 []의 내용에 근거하여, 제시문 []와 제시문 []의 사회적 현상을 각각 설명하시오. [400자 이내]

 

3. []~[]에 나타난 문제에 대한 공통적 해결방안을 <자료 1><자료 2>에 근거하여 각각 도출하시오. [800자 이내]

 

<자료 1>

비둘기는 누구에게도 상처를 입히지 않는다. 그러나 비둘기 개체군에서 매파형 돌연변이 개체가 나타났다고 가정하다. 매파형 돌연변이 개체가 비둘기와의 모든 싸움에서 승리하여 우선 유리하다. 그러나 유리한 매파의 유전자는 급속히 퍼져 매파끼리의 싸움이 시작됨으로써 돌연변이 개체도 부상을 당할 수 있다. 차라리 그들에게는 비둘기파의 공동 행위에 속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 - 이기적 유전자, 도킨스(R. Dawkins)

 

<자료 2>

공정 거래 위원회가 지난 2001년 담합 행위로 교복 생산업체 3’에 대해 내린 시정 명령과 과징금 부과 처분이 정당하다는 법원의 판결이 나왔다. 재판부는 “3사가 학부모들이 추진하는 입찰 방식 학생복 공동 구매를 막기 위해 다른 학생복 업체의 입찰 참여를 방해하고 사전 합의하에 입찰을 무산시킨 것은 공정 거래법상 사업 활동 방해 공동 행위로 인정된다.”고 판결하였다. - 고등학교 경제 교과서, 교학사

 

*[가] 해석*

가치를 추구할 때, 사람들은 두 가지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한다. 그들은 가치를 고려하여 다른 사람에게 상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통해 교환함으로써 가치를 얻을 수 있다. 한편 그들은 어떤 것도 제공하지 않고 가치를 이동시킴으로써 가치를 추구할 수도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이익추구행위로, 사람들이 원하는 금액을 지불하고 상품을 얻는 방법으로 공공에 기여하도록 강제하는 바람직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지대추구행위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지대추구행위는 사람들이 어떤 가치를 두고 경쟁할 때 발생한다. 대부분의 흥미로운 사례가 정부와 관련이 있는데, 이는 개인이나 시민들이 모인 단체가 가지지 못한 힘을 가진 정부가, 권력을 사용하여 다른 비용을 더 크게 만들기 때문이다. 지대추구행위는 보조금으로 인한 경쟁, 특별한 직업들, 그리고 생산이나 판매하는 상품에 대한 독점적인 권리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철강회사들은 종종 철의 수입 제한을 추구하고 의사 자격증을 가진 자들은 종종 자격증을 가지지 못한 의사들과의 경쟁을 억제하기 위하여 법규를 유지하는 데 로비를 하기도 한다. 만약 능력있는 자들이 지대추구행위를 위해 너무 과도하게 노력한다면, 사회의 부족한 자원을 심각하게 낭비하게 하여 국가의 성장과 발전에 심각한 해가 될 수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