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술언니_CLASS/논술·면접·시사_Archive

[교사대] 집필진 반대하자 ‘원고 없다’ 거짓말 의혹

by 경미쌤😍 2016. 12. 24.

역사교과서를 국가가 편찬하여 학생들에게 편향된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 타당한가

특히 정부의 편협하고 편향된 역사적 사실만을 가르치는 것이 옳은가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교사대 입시 면접에서 빈출하고 있는 질문이고요,

특히 현 정부에 대한 비판이 가해지는 시국에 뭐..역사교과서 속 친일파에게 책임회피할 근거를 마련해준거나

박정희에 대한 미화와 반드시 가르쳐야 할 사항들을 빼버린..

물론 반드시 가르쳐야 할 역사와 그렇지 않아도 될 역사라는 것 자체가 웃긴 말이지만,

적어도 이에 대한 합리적인 논의는 있었어야 한다고 봅니다.


역사교과서 논란이 언제쯤 해결될 수 있을지..
거짓없는 바른 역사를 바르게 배울 수 있는 날이 오기를 바랍니다.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이다. -E.H.Carr


[단독]집필진 반대하자 ‘원고 없다’ 거짓말 의혹

장은교 기자 indi@kyunghyang.com

2016.12.08 경향신문


ㆍ“국정교과서 원고·개고본 공개”한다더니…“저작권 미해결” 핑계 국회 제출 미적


<b>수요시위 때 소녀상에 헌화하는 일본인</b>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한 일본인이 ‘평화의 소녀상’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수요시위 때 소녀상에 헌화하는 일본인 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정기 수요시위에서 한 일본인이 ‘평화의 소녀상’에 헌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정 역사교과서의 원고본(원본)과 개고본(수정본)이 없다고 하다가 닷새 만에 찾았다던 국사편찬위원회(국편)가 집필진의 반발을 이유로 원고 제출을 미루고 있다. 


교육부는 그동안 현장검토본 발표 후 국회에 원고본과 개고본을 공개하겠다고 공언했다. 결국 국편이 집필진의 반대로 원고가 없다고 거짓말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된다.


박덕호 국편 역사교과서편수실장은 7일 경향신문과의 통화에서 “집필진 중에 원고본과 개고본 공개를 찬성하는 분도 있고 반대하는 분도 있다”며 “국회에는 며칠 시간을 좀 주면 집필진의 양해를 구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박 실장은 “반대하는 분은 절반 정도”라며 “전화로 연락하고 있는데 집필진 중에 전화기를 꺼놓은 분이 많아 통화가 잘 안된다”고 말했다. 


공개를 반대하는 집필진은 “원고본이나 개고본이 공개될 것이라는 생각은 전혀 안 했고 최종본까지 내용이 계속 바뀔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공개에) 이의를 제기하고 있다”며 “무슨 근거로 자꾸 그러느냐고 얘기한다”고 박 실장은 전했다. 


집필진 주장은 교육부의 그간 입장과 배치된다. 이준식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난 9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공개시기의 문제이지 (원고본) 공개를 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 실장은 “집필진 동의를 얻어야만 공개할 수 있는 문제냐”는 질문에 “100% 그런 것은 아니지만, 아직 집필이 완료되지도 않았고 원고료도 다 지급되지 않아 (원고)저작권이 국가로 완전히 넘어오지 않았다”며 “원만하게 하기 위해선 단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편이 지난 2일 원고본과 개고본을 찾았다고 박 실장은 밝혔다. 지난달 30일 더불어민주당 역사교과서국정화저지특별위원회 현장조사 때 국편은 “원고본과 개고본은 파쇄해서 없다”고 답했다가, 지난 5일 “확보했다”고 말을 바꿨다. 박 실장은 “여러 컴퓨터를 뒤져서 찾았다”고 답했다. 그러나 “인쇄본은 없고 파일로만 갖고 있다”고 말했다. 파일은 수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국회에 제출한다고 해도 ‘진짜 초본’인지 논란이 될 수 있다. 국편은 파일을 확보한 사실을 공개하지 않고 있다가, 지난 5일 기자회견 과정에서 취재진이 질문하자 그제서야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노웅래 의원은 “원고본과 개고본이 도저히 공개할 수 없을 정도로 편향적이기 때문에 국편에서 차일피일 미루고 거짓말하며 어떻게든 감추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면서 “원고본과 개고본은 집필진의 사유물이 아니다. 집필진 의사에 상관없이 즉각 공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오전 국회를 방문해 특위위원들과 면담을 갖고 “(국정교과서) 폐기 요구를 무겁게 받아들인다”면서 “오는 3월 학교 현장에 혼란이 초래되지 않도록 교육부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대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12월 내에 결정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의 한 관계자는 “예상보다 국정교과서에 대한 여론이 너무 좋지 않아 부총리도 여러 가능성을 두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정책 추진을 주관한 부처로서 즉각 폐기를 발표하긴 어렵고, 1년 유예 쪽에 무게를 두고 있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12080600005&code=94040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