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교대 2015 수시 집단면접 기출 문제
‘독친(毒親, toxic parents)’은 자녀의 인생에 독이 되는 부모를 일컫는 신조어로, 자녀에 대한 기대와 욕심이 지나쳐 오히려 자녀를 육체적·정신적으로 병들게 하는 부모를 이르는 말이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독친이라는 말이 생긴 것이 오직 성적 향상만을 위하여 자녀를 극심한 고통으로 내모는 부모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자녀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취한 부모의 선택을 독친이라는 말로 폄하하는 것은 사회가 자녀 교육에 대한 모든 문제를 개인의 탓으로 돌리는 무책임한 태도라는 주장도 있다.
위의 글에서 제기된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정리하고 각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거를 세 가지씩 제시하시오. 그리고 두 주장을 모두 고려하여 독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세 가지 제시하시오. |
최근 ‘에볼라’라는 위협적인 전염병이 세계적으로 급속히 확산되자 세계보건기구는 시험 단계에 있는 치료제의 사용을 이례적으로 허가하였다. 그러나 시험 단계의 치료제를 투여 받은 환자의 사망 사례가 보고되면서 안전성을 검증받지 못한 약물을 투여하는 문제를 둘러싸고 윤리적 논란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를 두고 환자를 살리기 위해서는 시험 단계의 치료제 사용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한편에서는 검증 받지 못한 의약품을 사용하는 것은 어떠한 경우에도 안 된다는 주장도 있다.
위의 글에서 제기된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정리하고 각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거를 세 가지씩 제시하시오. 그리고 두 주장을 모두 고려하여 시험 단계에 있는 치료제 사용의 윤리적 논란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세 가지 제시하시오. |
최근 기업체에서 인턴제를 활발히 시행하고 있는 가운데, 모 교육청에서 ‘신규임용 전 인턴 교사제’를 시행한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 제도의 골자는 임용시험 합격자에게 인턴십(기간제 교사 및 강사)제도를 적용해 계약제 교사로 근무하게 한 뒤, 교원인사위원회의 심의를 통해 최종 임용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것이다. 이 제도가 예비교사와 학교 모두에게 도움이 된다는 주장이 있는 반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시행해서는 안 된다는 주장도 있다.
위의 글에서 제기된 두 가지 상반된 주장을 정리하고 각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논거를 세 가지씩 제시하시오. 그리고 두 주장을 모두 고려하여 인턴교사제와 관련된 논란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세 가지 제시하시오. |
'논술언니_CLASS > 면접·시사_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지역 초등교사 360명 추가 선발 추진 (0) | 2017.08.07 |
---|---|
올해 수능 지원자 60만명대 무너질 듯..학령인구 감소 영향 (0) | 2017.08.06 |
[조경미T 교대 입시] 서울교대 2015 수시 기출 문제 (0) | 2017.08.05 |
학생수 줄어드는데 교사 선발 계속 늘려..예고된 참사 (0) | 2017.08.05 |
"초등교사 꿈꾸며 달려온 곳에 임용 절벽"..교대생들 '허탈' (0) | 2017.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