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안녕하세요^^
대치동 로고스 논술구술학원 교대 팀장 조경미입니다.
검색해서 면접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위해
오늘은 교대 면접 문항 몇 개 올려드려요.
대학들이 면접 형태나 시간, 대응방식 등을 조금씩 바꾸긴 하는데요
서울교대는 올해 7분 숙고 시간 주고, 필기구랑 개요 작성용 백지를 제공할 예정이래요.
3문항이니까 신속하게 정리해서 제일 잘 풀어낼 수 있는 문제부터 쫙~ 풀어서 발표하면 되겠죠?!
**기억하고 가세요! 풀이 순서는 무관하다. 잘 할 수 있는 것부터 해내자!**
파이널 기간에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예상 문제 한 세트 드려요.
문항 당 2분 내외로 개요 작성하고,
약 3분 내외로 발표하며 시간 활용하는 연습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그럼, 이겨내고, 합격! ^^
※ 다음을 읽고 답변이 준비된 질문부터 답하시오.
1. 청람이는 생존수영 시간에 발차기 연습을 열심히 하지 않고 있다. 선생님이 왜 연습을 하지 않냐고 물었더니 부판을 잡고 발차기를 하는 연습이 너무 시시해서 재미가 없다고 답변했다. 만약 여러분이 청람이의 선생님이라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2. 6학년 1반 사향이는 종이에 글씨를 쓰는 게 너무 어색하게 느껴진다. 항상 스마트폰에서 문자를 입력하거나, 친구들과 소통을 할 때도 주로 이모티콘이나 소위 ‘짤’로 불리는 이미지를 활용해왔기 때문이다. 그래서 학습에 어려움을 느끼기도 한다. 만약 여러분이 담임 선생님이라면 사향이를 어떻게 도울 수 있을지 구체적인 방안을 말하시오.
3. 인공지능은 많은 양의 기존 데이터를 학습하여 문제를 풀기 때문에, 데이터 암기와 해석에는 탁월한 능력을 보인다. 하지만, 기존 데이터의 한계를 넘어서는 창의적인 발상은 못하므로 창의력은 인간만의 전유물이라는 의견이 있다. 한편 구글이 딥러닝 기술을 이용하여 인공지능 프로그램에게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을 모사하도록 했을 때, 인공지능 프로그램은 자신의 학습 기억에 들어있는 형상과 고흐의 작품을 연결하여 매우 독특한 작품을 그려냈다. 따라서 인공지능도 창의력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인공지능(AI)도 창의성을 가질 수 있다는 의견에 대해 자신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말하고, 인공지능(AI)을 교육에서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말해보라.
답변 시 고려 사항
1. 학습 수준이나 흥미 요인, 동기 유발이나 적정 성취 수준 제공 관련 질문
2. 이미지 대신 텍스트를 활용한 학습 유도, 공감과 이해,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학습 열의 회복 노력
3. AI의 창의성도 결국 사람들의 의식의 합이므로 인간의 수준을 넘어설 수 없음 vs 딥 러닝의 결과 미래 어느 시점에는 창의성 발현 가능성 증대
인공지능의 교육 활용 방안으로 'AI 디지털 교과서' 상용화, AI 교사의 개별학습 촉진 등을 제시 가능
728x90
'조경미 CLASS > 수시·면접_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경미 교대 면접] 청주교대 2025 정시 면접 예상 문항 (0) | 2025.01.15 |
---|---|
[조경미 교대 면접] 서울교대 2025 정시 면접(2023 정시 문항&예상 문항) (0) | 2025.01.15 |
[조경미 교대 면접] '성취평가제' 관련 읽기 자료 (0) | 2025.01.14 |
미술품, 스텔라의 "아마벨“ (포스코빌딩) (0) | 2025.01.08 |
[조경미 교대 면접] 전국 10개 교대, 수시 모집 총 637명 미충원 (0) |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