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논술언니_CLASS/논술·면접·시사_Archive

[조경미T 교대 입시] 진주교대 2016 수시 집단면접 기출문제(오후1)

by 경미쌤😍 2017. 7. 8.

[오후 1]

1. 최근에 소통 부재와 공감 장애를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때문에 공감능력이란 말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공감능력은 공감하는 능력을 말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이 용어는 '상상력을 발휘해 다른 사람의 처지에 서보고, 다른 사람의 느낌과 시각을 이해하며, 그렇게 이해한 내용을 활용해 사람마다 행동의 지침으로 삼는 기술'이라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공감 전문가이면서 영국의 대중철학자로 잘 알려진 로먼 크르즈나릭은 공감능력을 '삶의 기술(Art of Life)'로 표현하면서 공감의 힘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2. 현대 사회에서 공감능력의 결여 문제는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요즘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는 학교폭력 문제 역시 그 중의 하나이다. 무력을 사용한 신체적 폭력이든 왕따, 폭언 등의 정신적 폭력이든, 학교 폭력의 당사자인 아이들은 공통적으로 상대의 감정에 대한 공감능력이 놀라울 만큼 결여되어 있다.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사회 곳곳의 크고 작은 끔찍한 사태는, 인간의 공감능력이 무서운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3. 소위 '캣맘'이라고 불리는 50대 여인이 길고양이의 집을 지어주다가 아파트 옥상에서 누군가 떨어뜨린 벽돌에 맞아 죽었다. 그 용의자들은 초등학교 학생들이다. 사건의 진상은 현재 수사 중이라서 잘 알 수 없으나 옥상에서 무심코 벽돌을 던진 것은 철없음과 부주의함을 넘어서 공감능력의 상실과 무관하지 않은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4. 작년에 일어난 세월호 참사로 인한 감정적인 반응에도 온도차가 있었다고 한다. '내가 겪은 일처럼 안타깝다''슬픔을 강요하지 말라'고 하는 서로 다른 반응이 있었을 것이다. 후자의 경우에도 냉정한 것과 이성적인 것은 구별되어야 한다. 공감을 바탕으로 한 이 슬픔을 이성적인 자세로 승화시킬 때, 우리는 문제 해결의 단서를 찾을 수 있게 된다.

 

* 이상의 지문과 관련해 다음의 물음에 답하시오.

 

1. 공감능력의 개발과 관련된 교육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개선 방안을 말해 보시오.

 

2. 공감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문학교육과 예술교육이 어떠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해 말해 보시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