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I-STORY

[책] 부러진 사다리(키스 페인)

by 경미쌤😍 2018. 2. 24.


독서할 때 그냥 책을 눈으로 읽게 하는 것보다는

아이들이 스스로 문제를 풀어가면서 읽게 하는 것이 좀 더 집중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해요.


최근 출간된 도서 중 '부러진 사다리'라는 책을 소개합니다.


경제적 주제지만, 심리학적으로 접근하기도 했고,

경쟁이나 불평등이 심리적으로 어떤 문제가 되는지,

왜 공정성이 필요한지를 숙고하게 하는 책이에요.


8~101쪽, 108~211쪽을 발췌해서 읽으면서 고1 아이들과 아래 첨부한 문제를 풀었어요.

정의론이나 정의란 무엇인가를 읽기에는 아이들이 너무 부담스러워하고,

이보다는 좀 더 쉬우면서도 시사적인 주제로 접근하다보니

이런 책들을 함께 읽게 되네요.

혹시 이 글 보시는 분들께 독서 지도나 독서 활동에 도움이 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 연관 진로 및 함께 읽어도 좋을 책

 

심리학과, 사회학과, 경제학과, 정치 관련 학과, 글로벌 경제·리더학과 등

 

+ <평등이 답이다>(리처드 윌킨슨, 케이트 피킷), <82년생 김지영>(조남주)



불평등은 개개인의 생각과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미국 빈민가 출신으로 직접 불평등과 자수성가를 모두 경험한 심리학자 키스 페인이 실험심리학을 이용해 우리 사회에 깊숙이 파고든 불평등이 평범한 사람들의 의사결정, 정치적 성향, 노후 계획, 걸리는 질병의 종류, 기대 수명, 신앙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낱낱이 파헤치는 부러진 사다리.
저자는 이 책에서 심리학, 신경과학, 행동경제학 등의 분야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연구를 통해 남보다 가난하다는 인식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송두리째 바꾸는지 생생하게 보여주고 가난을 개인의 인격적 결함으로 보는 잘못된 시각을 바로잡아 준다. 빈곤하거나 풍족하다는 느낌은 보통 상대적 비교에 근거하는데 어린 시절 겪은 빈곤과 풍요는 사람들의 삶의 방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지금 당장 남들보다 뒤처진다는 인식이 유발하는 빈곤감이 미래를 차분히 준비하기보다 당장 손에 넣을 수 있는 것을 선택하도록 부추긴다.
다양한 연구 결과, 불평등은 부자와 빈자 사이를 이간질할 뿐만 아니라 버젓한 중산층도 불평등을 인식하면 빈곤감을 느끼고 가난한 사람처럼 행동하게 만들었고 불평등을 인식하면 부자든 빈자든 이상하게 행동하기 시작했다. 또 높은 지위에 있다는 우월감이 생기면 상대방의 생각이 잘못됐다고 느끼기 쉬웠으며, 불평등의 격차가 덜할수록 팀의 성과는 더 좋았고 격차가 심할수록 팀의 의욕을 해치고 성과를 떨어트렸다. 이와 같은 내용을 통해 저자는 불평등이 빈곤층뿐만 아니라 그 사회에 사는 모든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일깨우며 이를 함께 극복해나갈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책 목차>

 

1. 무상 급식으로 펼쳐진 지위의 사다리
-왜 상대적 빈곤은 실제 가난만큼 상처가 되는가

2. 상대적 비교
-왜 우리는 비교를 멈출 수 없는가

3. 가난이 인격의 결함 때문이라고?
-불평등은 나름의 논리를 갖고 있다

4. 우파와 좌파, 그리고 사다리
-불평등이 우리의 정치 성향을 가른다

5. 수명과 묘비 크기의 상관관계
-불평등은 생과 사의 문제다

6. , 음모, 그리고 천사들의 언어
-왜 사람들은 자기가 믿고 싶은 것을 믿는가

7. 흑과 백의 불평등
-인종차별과 소득 불평등의 위험한 역학 관계

8. 일터에서의 사다리
-왜 공정한 급여가 공명정대한 경쟁을 암시하는가

9. 수직 사회에서 사는 기술
-평평한 사다리, 현명한 비교, 가장 중요한 가치


------------------------------------------------------------------------------------------------------


<독서 중 문제>

 

1. 필자가 비행기 안을 인생의 축소판으로 보거나, 기내 난동 연구의 가치를 논한 이유를 설명하라.

   

2. 소득 분포 곡선의 형태와 그러한 전형적인 형태가 나오는 이유를 설명하라.

    

3. 소득과 무관하게 자신이 가난하다고 느끼면 어떤 일이 발생할 수 있는지 설명하라.

     

4. 사회적 지위가 상대적 비교에 의해 정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5. ‘워비곤 호수 효과란 무엇인가?

    

6. 수렵 채집 사회가 자본주의 사회보다 평등했던 이유는 무엇인가?

    

7. ‘공정성이 담보되지 않았을 때 원숭이들의 행동과 어린이들의 행동에 어떤 유사성이 있었는가?

    

8. 롤스의 정의론에서 무지의 베일이 무엇인지 쉽게 설명해보라.

    

9. 인간이 자기와 타인을 무의식적으로 비교한다는 것을 알 수 있게 하는 단서는 무엇인가?

      

10. 사람이 경제적, 물질적 요소가 실제로 충분한가보다 상대적 비교, 충분함에 더 예민하게 반응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11. 선진국의 평균 소득과 건강 및 사회문제 지수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12. 선진국의 소득 불평등과 건강 및 사회문제 지수 사이에는 어떤 연관성이 있는가?

  

13. 사람들이 빈곤한 상황에 처했을 때 미래보다 현재에 더 집중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14. 미국 사회에 인종 차별을 개선하는 법과 제도가 보완된지 반세기가 지났다. 실질적으로 인종 차별이 개선되고 있는가의 여부를 어떤 실험 결과를 통해서 알 수 있었는가

 

15. ‘암묵적 편견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책 속에 제시된 여러 가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설명해보라.

    

16. ‘암묵적 편견이 심해지는 이유는 무엇일까?

    

17. 말하는 사람의 의도보다 듣는 사람의 어떻게 해석하는가가 더 중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