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술언니_CLASS1223 [논술언니 지식쿠키] 주제 1: 공리주의 문제풀이(인문 논술 평가 유형) 안녕하세요^^대치동 논술언니 조경미쌤입니다. 지난 "지식쿠키"는 '공리주의"를 소재로 했는데요,이어서 문제를 풀어보고 제시문을 정확하게 해석하여 답안을 작성할 수 있는지 보면 좋겠어요. 문제를 보세요. [문제] 제시문 (가)와 (나)의 두 입장 각각에서 (다)의 상인을 평가해 보시오. (500~600자)제시문 (가)최대 행복의 원리를 도덕의 기초로 받아들이는 사람들은 행복을 좋은 것이라고 본다. 그들의 주장에 의하면 행위의 옳음은 행위가 행복을 증진시키는 정도와 비례하며 행위의 그름은 불행을 산출하는 정도에 비례한다. 이때 행복이란 쾌락을 의미하거나 고통의 부재를 의미하며, 불행이란 고통을 의미하거나 쾌락의 결여를 의미한다. 이러한 전제 아래 이들은 어떤 행위에 대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덕적 판단.. 2024. 3. 16. [조경미 교대 입시] 2024 교대 정시 면접 영향력, 합격생 성적 분석 안녕하세요 로고스 교대 팀장 조경미입니다. 최근 3년 사이에 교대 인기가 시들했던 것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긴 하지만, 그럼에도 저는 이왕 이렇게 된 거, 더 나빠질 게 없으니까 만약 교대/초등학교 선생님이 진짜 너무너무 오랫동안의 꿈이었다면 지금 지원해서 4~5년 후를 바라보는 것도 좋지 않겠나 싶기도 하더라고요. 어차피 자신들이 선생님이 되고 싶었다면 손해볼 건 없잖아요.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 수 있다는 게 얼마나 큰 행복이에요? 예전엔 서울교대랑 서울대 사대를 두고 고민했는 걸요..! 어쨌든, 올해 교대 수시는 뭐, 성적을 예측하는 게 무의미할 정도였어서 아예 정리도 안 했는데요 정시에서 "면접의 영향력"이 얼마나 되는지 많이들 궁금해하시잖아요. 그래서 시간을 좀 내봤습니다^^ 학생들의 .. 2024. 3. 15. 코끼리 장례, 내 새끼 얼굴이 하늘 보도록…“이런 매장은 처음” 안녕하세요 논술언니입니다 연세대 ‘죽음’ 문제가 떠오르는 주제였어요.. 2011학년도 인문계열 논술 문제는 고릴라들이 죽음을 대하는 태도룰 소재로 한 제시문과 배설물을 보고 죽음의 이미지와 연관짓는 자료가 나왔었어요 2007-2009년 사이에 빈출 주제였기 때문에 뭐 특이할 것도 없었어요. 다만 시험 끝나고 애들이 논술문제에 '똥'이 나왔다고.. 하아..똥이 핵심이 아니라 배설물의 이미지와 죽음과의 연결이었는데ㅎㅎㅎ 각설, 이 기사와 논문을 접하고 “동물이 죽음을 아는가”에 대한 사람들의 판단이 인간중심성에서 벗어날 근거를 제공하는 사례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저는 물고기나 강아지나 새들이 모두 인간이 경험하거나 아는 것과는 다른 종류나 범위의 감정과 지혜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거든요.. 코끼리도 자식의 .. 2024. 3. 9. 경희대 한의대 위상 하락, 의대 재도전자 증가세 안녕하세요 논술언니입니다 흠.. 사실 우리 첨삭쌤들 중에서도요.. 의대랑 한의대로 갈아타는 쌤들이 있었어요 25살 이상 나이를 먹고 심지어 현업에 있다가 진로를 바꾸는 경우도 있고.. 그래서 대단한 결정이라고 생각했거든요. 근데 의대정원 확대로 이런 이슈가 생깁니다. 원래 어떤 현상은 도미노처럼, 나비효과를 일으키며 다른 현상을 만들어내잖아요^^ 의대정원이 진짜로 왕창 늘어날지 정원이 늘어 공대 입결이 약간 하락할지 의사들의 카르텔을 조금은 약화시킬 수 있을지 그럼에도 그들의 자기를 지키고자 하는 결속력은 더 강해질지 과거 언론에서 그랬듯, 정부에 붙는 일부 친정부파가 생겨서 집단 내에 균열이 갈지 궁금합니당 두고보자요..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5770.. 2024. 3. 8. [논술언니 지식쿠키] 주제 1: 공리주의 안녕하세요^^ 대치동 논술언니 조경미쌤입니다. 올해는 우리 수험생들의 배경지식 확장에 도움을 드리고자 읽기자료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대신 너무 힘들지 않게, 논술과 면접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요 내용을 ‘쿠키’ 하나 먹듯이 가볍게 읽고, 꼭꼭 씹어 삼켜 소화시킬 수 있도록 알려드릴 거예요. 하나라도 더 배우고 익혀 당신들의 합격에 기여할 수 있도록 친절하고 어렵지 않게 이야기해볼게요^^ ‘공리주의’는 논술에 출제되는 꽤 빈출 주제 중 하나예요. 물론 면접 문제로도 자주 나오고, 사탐 교과에서도 주요 개념으로 꽤 자주 다루었을 겁니다. 다만 선택과목에 따라 익숙하거나 그렇지 않거나의 차이가 있을 뿐! 그러니 오늘 ‘공리주의’의 핵심 개념에 대해 간결하게 숙지하고 가도록 합시다. 혹시 ‘공리주의’를 영어로.. 2024. 3. 8. 산후조리 500만원?…"그냥 안 낳을래요" 2040女 등 돌렸다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953509?cds=news_edit 산후조리 500만원?…"그냥 안 낳을래요" 2040女 등 돌렸다결혼과 출산 적령기인 25세부터 45세 사이의 경제활동을 하는 여성 10명 중 7명은 자녀가 2명 이상은 있어야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10명 중 6명은 출산할 의향이 없었다. n.news.naver.com 안그래도 지난 주말에 서강대 문제를 풀면서 여성에게 지워져 있던 출산과 육아, 가사노동 그리고 일의 양립 가능성을 높이는 방안을 논했는데.. 뭐.. 산후조리도 비싸고, 양육비도 비싸니.. 자식 낳아 기르기가 참 어렵겠지요 그치만!! 비단 돈이 없어서 안(못) 낳는 것만은 아녀유.. 각자의 사정과 다양한 이유.. 2024. 2. 27.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04 다음 728x90